자료실
 > 정보광장 > 자료실
제목 | 글쓴이 | 등록일 | 조회수 | |
---|---|---|---|---|
친환경 건축 발표 - 박재우 | 관리자 | 2014.09.22 | 5176 | |
1. 친환경 건축중 벽면녹화의 의의와 적용및응용방법 벽면녹화의 의의 다 양한 수직벽면을 다양한 식물로 덮는것 , 도시 환경을 개선할 목적으로 조성하는것 ,보통은 벽면녹화 외벽을 옹벽,축대벽등이라 하며 그 외 여러가지 가리키는 말들이 있다 이런 벽체에 녹화 (화초,나무,잔디)등을 길러서 심어준 다음 정원이나 공원등을 만드는 자연의 산업으로 시각적인 효과는 물론 환경적인 효과가 부각되어지고 부여됨으로 일반 인테리어보다도 좀더 친화적이며 자연 상직적인 의미을 갖게 된다 응용방법 1. 에너지 절약 옥 상 녹화는 기존의 비녹화 지붕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외기온도가 전달되는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토양층 상부에서 지표를 덮고있는 식물들의 일사 차단효과와 전체 식물들의 증발산 작용에 의한 잠열효과 및 토양층이 지닌 물리적인 단열 성능이 복합되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 됨 2. 열섬화 현상 완화 (다른 지역보다 도심지의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현상 완화) 3. 생태 복원 비정상적인 도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작은 면적의 녹지라도 조금씩 확보해 나가는 것이 시급한 설정이다 옥상 녹화는 지상에서 확보하기 불가능한 녹지량을 충분히 보상할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생각 한다 2. 친환경건축의 의의와전망 친 환경 건축은 자연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생태학적 인식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태환경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삶에 효율성과 자율성을 성취시키기 위하여 환경과 상호적응 할 수 있는 구조를 디자인 하고 건설하는 예술 혹은 과학으로서의 건축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즉 건물 시스템을 자연 생태계의 일부에 편입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연환경을 합리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건축을 생태계의 일부로 이해함으로써 인간과 건축, 자연 상호간의 관계를 양질로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건물로 인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자연자원의 보존 화와 쾌적성을 극대화 시키는 것을 고려한 건축이다. 또한 건축을 생산의 단계에서 폐기까지 전 기간에 걸쳐 환경과의 관계로 이해하고, 이것을 건축의 재료나 부품의 생산에서 시공, 사용, 파괴하여 폐기될 때까지의 전체 기간을 통해 순환적인 관계로서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다. |
||||
첨부파일 |
이전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다음글 | 친환경 건축 발표 - 양효빈 |